쪽지발송 성공
Click here
재능넷 이용방법
재능넷 이용방법 동영상편
가입인사 이벤트
판매 수수료 안내
안전거래 TIP
재능인 인증서 발급안내

🌲 지식인의 숲 🌲

🌳 디자인
🌳 음악/영상
🌳 문서작성
🌳 번역/외국어
🌳 프로그램개발
🌳 마케팅/비즈니스
🌳 생활서비스
🌳 철학
🌳 과학
🌳 수학
🌳 역사
구매 만족 후기
추천 재능





    
153, simple&modern



















해당 지식과 관련있는 인기재능

JAVA,JSP,PHP,javaScript(jQuery), 등의 개발을 전문적으로 하는 개발자입니다^^보다 저렴한 금액으로, 최고의 퀄리티를 내드릴 것을 자신합니다....

10년차 php 프로그래머 입니다. 그누보드, 영카트 외 php로 된 솔루션들 커스터마이징이나 오류수정 등 유지보수 작업이나신규개발도 가능합...

경력 12년 웹 개발자입니다.  (2012~)책임감을 가지고 원하시는 웹사이트 요구사항을 저렴한 가격에 처리해드리겠습니다. 간단한 ...

Laravel Performance Optimization: 속도 개선 기법

2024-12-19 14:00:41

재능넷
조회수 616 댓글수 0

Laravel Performance Optimization: 속도 개선 기법 🚀

콘텐츠 대표 이미지 - Laravel Performance Optimization: 속도 개선 기법

 

 

안녕하세요, 개발자 여러분! 오늘은 Laravel 프레임워크의 성능 최적화에 대해 깊이 있게 파헤쳐볼 거예요. 😎 Laravel로 개발하다 보면 어느 순간 "어? 이게 왜 이렇게 느리지?" 하는 순간이 올 수 있죠. 그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적화 기법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여러분의 Laravel 애플리케이션을 슈퍼 소닉 스피드로 만들어볼게요! 🏎️💨

참고로, 이 글은 재능넷(https://www.jaenung.net)의 '지식인의 숲' 메뉴에 등록될 예정이에요. 재능넷은 다양한 재능을 거래하는 플랫폼인데, 여러분의 Laravel 개발 실력도 충분히 재능이 될 수 있답니다! 😉

🔑 Key Point: Laravel 성능 최적화는 단순히 코드를 빠르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쿼리 최적화부터 캐싱 전략, 코드 구조 개선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야 해요.

1. 데이터베이스 쿼리 최적화 💾

Laravel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데이터베이스 쿼리예요. 쿼리 한 방에 서버가 뻗어버릴 수도 있다구요! ㅋㅋㅋ 그래서 우리는 쿼리 최적화에 특별히 신경 써야 해요.

1.1 Eager Loading 사용하기

N+1 쿼리 문제, 들어보셨나요? 이건 ORM을 사용할 때 자주 발생하는 성능 이슈인데요. 예를 들어볼게요:


$users = User::all();
foreach ($users as $user) {
    echo $user->profile->bio;
}

이 코드, 얼핏 보면 멀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엄청난 양의 쿼리를 생성해요. 사용자 수만큼 프로필 정보를 가져오는 쿼리가 추가로 실행되거든요. 이걸 Eager Loading으로 해결할 수 있어요!


$users = User::with('profile')->get();
foreach ($users as $user) {
    echo $user->profile->bio;
}

이렇게 하면 단 두 번의 쿼리로 모든 정보를 가져올 수 있어요. 완전 개이득 아니겠어요? 😎

1.2 Chunk 메소드 활용하기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는 chunk 메소드를 사용하면 좋아요.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고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거든요.


User::chunk(100, function ($users) {
    foreach ($users as $user) {
        // 사용자 처리 로직
    }
});

이렇게 하면 100명씩 나눠서 처리하니까 메모리 부담도 줄고, 중간에 에러나도 전체 작업이 날아가는 일은 없겠죠?

1.3 인덱스 활용하기

데이터베이스 인덱스는 성능 향상의 비밀 병기예요. 자주 검색하는 컬럼에 인덱스를 걸어주면 쿼리 속도가 확 올라갑니다.


Schema::table('users', function (Blueprint $table) {
    $table->index('email');
});

이렇게 마이그레이션에 추가해주면 되는데, 주의할 점은 너무 많은 인덱스를 만들면 오히려 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요. 밸런스가 중요합니다!

💡 Pro Tip: 데이터베이스 쿼리 최적화는 Laravel 성능 향상의 핵심이에요. 항상 실행되는 쿼리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raw SQL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하지만 raw SQL은 보안에 주의해야 해요!

2. 캐싱 전략 구현하기 🧊

캐싱은 성능 최적화의 강력한 무기예요. 자주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를 매번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오는 건 너무 비효율적이잖아요? 그래서 우리는 캐시를 활용할 거예요!

2.1 Redis 캐시 사용하기

Laravel은 기본적으로 여러 캐시 드라이버를 지원하는데, 그 중에서도 Redis가 특히 강력해요. Redis는 인메모리 데이터 구조 저장소로, 초고속 읽기/쓰기가 가능해요.


// .env 파일
CACHE_DRIVER=redis

// 사용 예시
$value = Cache::remember('users', 3600, function () {
    return User::all();
});

이렇게 하면 사용자 목록을 1시간 동안 캐시에 저장하고, 그 시간 동안은 데이터베이스 쿼리 없이 바로 가져올 수 있어요. 완전 스피드업! 🚀

2.2 부분 캐싱 활용하기

전체 페이지를 캐싱하는 것보다 특정 부분만 캐싱하는 게 더 효과적일 때가 있어요. Laravel의 Blade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면 이런 부분 캐싱을 쉽게 구현할 수 있죠.


@cache('user-profile-' . $user->id, 60)
    <div class="user-profile">
        <!-- 사용자 프로필 내용 -->
    </div>
@endcache

이렇게 하면 각 사용자의 프로필 섹션을 60분 동안 캐시할 수 있어요. 프로필이 자주 변경되지 않는다면 이 방법으로 서버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죠.

2.3 캐시 무효화 전략

캐시는 좋지만, 너무 오래된 데이터를 보여주면 안 되겠죠? 그래서 캐시 무효화 전략이 중요해요.


// 데이터 업데이트 시 캐시 삭제
public function updateProfile(Request $request)
{
    $user = Auth::user();
    $user->update($request->all());
    
    Cache::forget('user-profile-' . $user->id);
}

이런 식으로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관련 캐시를 삭제해주면, 항상 최신 정보를 유지할 수 있어요.

🌟 Best Practice: 캐시 키 이름을 정할 때는 명확하고 예측 가능한 패턴을 사용하세요. 예를 들어 'user:' . $user->id . ':profile' 같은 형식을 사용하면 나중에 캐시 관리가 훨씬 쉬워집니다.

3. 라우팅 최적화 🛣️

라우팅은 사용자의 요청을 적절한 컨트롤러로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해요. 라우팅이 비효율적이면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죠. 그래서 우리는 라우팅도 최적화해야 해요!

3.1 라우트 캐싱 활용하기

Laravel은 라우트 캐싱 기능을 제공해요. 이 기능을 사용하면 라우트를 파싱하고 등록하는 과정을 건너뛸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시간이 크게 줄어들어요.


php artisan route:cache

이 명령어로 라우트를 캐시할 수 있어요. 단, 주의할 점은 라우트 캐시를 사용하면 routes/web.phproutes/api.php 파일의 변경사항이 바로 반영되지 않아요. 라우트를 변경할 때마다 캐시를 다시 생성해야 해요.


php artisan route:clear
php artisan route:cache

이렇게 캐시를 지우고 다시 생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해요. 귀찮을 수 있지만, 성능 향상 효과는 확실하답니다! 😉

3.2 라우트 그룹 사용하기

비슷한 라우트들을 그룹으로 묶으면 코드도 깔끔해지고 성능도 좋아져요. 특히 미들웨어를 여러 라우트에 적용할 때 유용해요.


Route::middleware(['auth'])->group(function () {
    Route::get('/profile', 'ProfileController@index');
    Route::put('/profile', 'ProfileController@update');
    Route::get('/settings', 'SettingsController@index');
    // ... 더 많은 인증이 필요한 라우트들
});

이렇게 하면 인증이 필요한 모든 라우트에 한 번에 미들웨어를 적용할 수 있어요. 코드 중복도 줄이고, 관리도 쉬워지죠!

3.3 리소스 컨트롤러 활용하기

CRUD 작업을 위한 라우트를 일일이 정의하는 건 너무 귀찮죠? 그래서 Laravel은 리소스 컨트롤러라는 멋진 기능을 제공해요.


Route::resource('posts', 'PostController');

이 한 줄로 posts에 대한 index, create, store, show, edit, update, destroy 라우트가 모두 생성돼요. 완전 개이득이죠? 😎

⚠️ Warning: 라우트 수가 너무 많아지면 애플리케이션의 부팅 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요. 꼭 필요한 라우트만 정의하고, 가능하면 라우트 캐싱을 활용하세요!

4. 뷰 최적화 👀

뷰는 사용자에게 직접 보여지는 부분이라 최적화가 특히 중요해요. 뷰가 느리면 사용자 경험이 크게 떨어지니까요. 그래서 우리는 뷰도 열심히 최적화해볼 거예요!

4.1 Blade 컴파일 최적화

Laravel의 Blade 템플릿 엔진은 이미 꽤 최적화가 잘 되어 있지만, 우리가 조금만 더 신경 쓰면 성능을 더 높일 수 있어요.


// 비효율적인 방법
@foreach ($users as $user)
    {{ $user->name }}
@endforeach

// 최적화된 방법
@foreach ($users as $user)
    @{{ $user->name }}
@endforeach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하면 Blade가 이스케이핑을 건너뛰어서 조금 더 빠르게 렌더링할 수 있어요. 물론 XSS 공격에 주의해야 해요!

4.2 뷰 컴포저 활용하기

여러 뷰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데이터가 있다면 뷰 컴포저를 활용해보세요. 코드 중복도 줄이고 성능도 개선할 수 있어요.


// AppServiceProvider.php
public function boot()
{
    View::composer('*', function ($view) {
        $view->with('user', Auth::user());
    });
}

이렇게 하면 모든 뷰에서 $user 변수를 사용할 수 있어요. 매번 컨트롤러에서 전달할 필요가 없죠!

4.3 Fragment 캐싱 활용하기

페이지의 일부분만 동적이고 나머지는 정적이라면 Fragment 캐싱을 활용해보세요. 렌더링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요.


@cache('sidebar', 60)
    @include('partials.sidebar')
@endcache

이렇게 하면 사이드바를 60분 동안 캐시하고, 그 시간 동안은 데이터베이스 쿼리 없이 바로 렌더링할 수 있어요.

💡 Pro Tip: 뷰 최적화는 프론트엔드 성능과 직결돼요. 가능하면 CSS와 JavaScript 파일을 최소화하고, 이미지를 최적화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5. 큐(Queue) 시스템 활용하기 🚶‍♂️➡️🏃‍♂️

Laravel의 큐 시스템은 성능 최적화의 강력한 도구예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옮겨서 사용자 응답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죠. 이메일 발송, 대용량 파일 처리 등에 특히 유용해요.

5.1 작업 큐에 넣기

먼저 큐에 넣을 작업을 정의해볼게요.


// app/Jobs/ProcessPodcast.php
class ProcessPodcast implements ShouldQueue
{
    use Dispatchable, InteractsWithQueue, Queueable, SerializesModels;

    protected $podcast;

    public function __construct(Podcast $podcast)
    {
        $this->podcast = $podcast;
    }

    public function handle()
    {
        // 시간이 오래 걸리는 팟캐스트 처리 로직
    }
}

이제 이 작업을 큐에 넣어볼까요?


ProcessPodcast::dispatch($podcast);

이렇게 하면 팟캐스트 처리 작업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사용자는 기다릴 필요 없이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요. 완전 개이득이죠? 😎

5.2 큐 워커 실행하기

큐에 작업을 넣었으면 이제 이 작업을 처리할 워커를 실행해야 해요.


php artisan queue:work

이 명령어로 큐 워커를 실행할 수 있어요. 워커는 계속 실행되면서 새로운 작업이 큐에 들어오면 바로 처리해줘요.

5.3 실패한 작업 처리하기

가끔은 작업이 실패할 수도 있어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 Laravel은 실패한 작업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해요.


// config/queue.php
'failed' => [
    'driver' => env('QUEUE_FAILED_DRIVER', 'database-uuids'),
    'database' => env('DB_CONNECTION', 'mysql'),
    'table' => 'failed_jobs',
],

이렇게 설정하면 실패한 작업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돼요. 나중에 이 작업들을 다시 시도하거나 문제를 분석할 수 있죠.

🎯 Remember: 큐 시스템은 강력하지만, 남용하면 오히려 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요. 꼭 필요한 작업만 큐에 넣고, 적절한 수의 워커를 유지하는 게 중요해요!

6. 이벤트 브로드캐스팅 최적화 📡

실시간 기능을 구현할 때 이벤트 브로드캐스팅은 정말 유용해요. 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서버에 큰 부하를 줄 수 있죠. 그래서 우리는 이벤트 브로드캐스팅도 최적화해볼 거예요!

6.1 적절한 브로드캐스트 드라이버 선택

Laravel은 여러 브로드캐스트 드라이버를 지원해요. 각 드라이버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상황에 맞는 드라이버를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 .env
BROADCAST_DRIVER=pusher

Pusher는 쉽게 설정할 수 있고 확장성도 좋아서 많이 사용돼요. 하지만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이라면 Redis나 Socket.io를 고려해볼 수 있어요.

6.2 이벤트 필터링

모든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트할 필요는 없어요. 꼭 필요한 이벤트만 선별해서 브로드캐스트하면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요.


class OrderShipped implements ShouldBroadcast
{
    // ...

    public function broadcastOn()
    {
        return new PrivateChannel('orders.' . $this->order->id);
    }

    public function broadcastWhen()
    {
        return $this->order->status === 'shipped';
    }
}

broadcastWhen 메소드를 사용하면 특정 조건에서만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를 줄일 수 있죠.

6.3 채널 최적화

너무 많은 사용자가 하나의 채널을 구독하면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가능하면 채널을 세분화해서 사용하는 게 좋아요.


// 비효율적인 방법
Echo.channel('orders')
    .listen('OrderShipped', (e) => {
        console.log(e.order.id);
    });

// 최적화된 방법
Echo.private(`orders.${orderId}`)
    .listen('OrderShipped', (e) => {
        console.log(e.order.id);
    });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하면 각 주문마다 별도의 채널을 사용하게 돼요.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을 줄일 수 있어요.

🚀 Performance Boost: 이벤트 브로드캐스팅을 최적화하면 실시간 기능의 성능이 크게 향상돼요. 특히 대규모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효과가 큽니다!

7. 미들웨어 최적화 🔀

미들웨어는 HTTP 요청이 애플리케이션에 도달하기 전에 처리되는 로직이에요. 잘 사용하면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미들웨어도 최적화해볼 거예요!

7.1 미들웨어 순서 최적화

미들웨어의 실행 순서는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가능하면 가벼운 미들웨어를 먼저 실행하고, 무거운 미들웨어는 나중에 실행하는 게 좋아요.


// app/Http/Kernel.php
protected $middleware = [
    \App\Http\Middleware\TrustProxies::class,
    \Fruitcake\Cors\HandleCors::class,
    \App\Http\Middleware\PreventRequestsDuringMaintenance::class,
    \Illuminate\Foundation\Http\Middleware\ValidatePostSize::class,
    \App\Http\Middleware\TrimStrings::class,
    \Illuminate\Foundation\Http\Middleware\ConvertEmptyStringsToNull::class,
];

이런 식으로 가벼운 미들웨어(예: TrimStrings)를 앞쪽에, 무거운 미들웨어(예: 인증 미들웨어)를 뒤쪽에 배치하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어요.

7.2 조건부 미들웨어 사용

모든 요청에 미들웨어를 적용할 필요는 없어요. 특정 조건에서만 미들웨어를 실행하도록 설정하면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죠.


// app/Http/Kernel.php
protected $middlewareGroups = [
    'web' => [
        // ...
        \App\Http\Middleware\HandleInertiaRequests::class,
        \Illuminate\Http\Middleware\AddLinkHeadersForPreloadedAssets::class,
    ],

    'api' => [
        // ...
    ],
];

이렇게 미들웨어 그룹을 사용하면 웹 요청과 API 요청에 서로 다른 미들웨어를 적용할 수 있어요. 불필요한 미들웨어 실행을 줄일 수 있죠.

7.3 캐시 미들웨어 활용

자주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캐시 미들웨어를 사용하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요.


// app/Http/Middleware/CacheResponse.php
public function handle($request, Closure $next)
{
    $key = 'page_' . md5($request->fullUrl());

    if (Cache::has($key)) {
        return response(Cache::get($key));
    }

    $response = $next($request);

    Cache::put($key, $response->getContent(), now()->addMinutes(10));

    return $response;
}

이런 식의 캐시 미들웨어를 사용하면 동일한 요청에 대해 10분 동안 캐시된 응답을 반환할 수 있어요. 데이터베이스 쿼리나 복잡한 연산을 줄일 수 있죠.

🔍 Deep Dive: 미들웨어 최적화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해요. 각 미들웨어의 역할과 실행 시점을 정확히 이해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서버 설정 최적화 🖥️

지금까지 Laravel 코드 레벨에서의 최적화를 살펴봤는데요, 서버 설정 최적화도 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이제 서버 설정 최적화에 대해 알아볼게요!

8.1 PHP-FPM 설정 최적화

PHP-FPM(FastCGI Process Manager)은 PHP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좌우해요. 적절한 설정으로 큰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죠.


; /etc/php/7.4/fpm/pool.d/www.conf

pm = dynamic
pm.max_children = 50
pm.start_servers = 5
pm.min_spare_servers = 5
pm.max_spare_servers = 35
pm.max_requests = 500

이런 식으로 설정하면 PHP-FPM이 동적으로 프로세스를 관리하면서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어요. 서버의 리소스와 트래픽 상황에 맞게 조정해야 해요.

8.2 OPcache 활성화

OPcache는 PHP 스크립트를 미리 컴파일해서 메모리에 저장해두는 기능이에요. 이를 활성화하면 PHP 실행 속도가 크게 향상돼요.


; /etc/php/7.4/fpm/php.ini

opcache.enable=1
opcache.memory_consumption=128
opcache.interned_strings_buffer=8
opcache.max_accelerated_files=4000
opcache.revalidate_freq=60
opcache.fast_shutdown=1
opcache.enable_cli=1

이렇게 설정하면 OPcache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요. 특히 opcache.revalidate_freq를 60으로 설정하면 1분마다 파일 변경을 확인하게 돼요.

8.3 Nginx 설정 최적화

웹 서버로 Nginx를 사용한다면, Nginx 설정 최적화로도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요.


# /etc/nginx/nginx.conf

worker_processes auto;
worker_rlimit_nofile 65535;

events {
    worker_connections 65535;
    multi_accept on;
    use epoll;
}

http {
    sendfile on;
    tcp_nopush on;
    tcp_nodelay on;
    keepalive_timeout 65;
    types_hash_max_size 2048;
    server_tokens off;

    # Gzip 압축 설정
    gzip on;
    gzip_vary on;
    gzip_proxied any;
    gzip_comp_level 6;
    gzip_types text/plain text/css application/json application/javascript text/xml application/xml application/xml+rss text/javascript;
}

이런 설정으로 Nginx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어요. 특히 Gzip 압축을 활성화하면 네트워크 대역폭을 크게 절약할 수 있죠.

🛠️ Server Tuning: 서버 설정 최적화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성과 서버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항상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설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9. 모니터링 및 프로파일링 🔬

성능 최적화의 마지막 단계는 모니터링과 프로파일링이에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주기적인 프로파일링을 통해 성능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어요.

9.1 Laravel Telescope 활용

Laravel Telescope은 애플리케이션의 요청, 예외, 로그, 데이터베이스 쿼리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예요.


composer require laravel/telescope --dev
php artisan telescope:install
php artisan migrate

이렇게 설치하고 나면 /telescope 경로에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특히 느린 쿼리나 과도한 메모리 사용을 쉽게 발견할 수 있죠.

9.2 Blackfire.io 사용

Blackfire.io는 PHP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프로파일링하는 강력한 도구예요. CPU 시간, 메모리 사용량, I/O 작업 등을 상세히 분석할 수 있어요.

관련 키워드

  • Laravel
  • 성능 최적화
  • 데이터베이스 쿼리
  • 캐싱
  • 라우팅
  • 뷰 최적화
  • 큐 시스템
  • 이벤트 브로드캐스팅
  • 미들웨어
  • 서버 설정

지적 재산권 보호

지적 재산권 보호 고지

  1. 저작권 및 소유권: 본 컨텐츠는 재능넷의 독점 AI 기술로 생성되었으며, 대한민국 저작권법 및 국제 저작권 협약에 의해 보호됩니다.
  2. AI 생성 컨텐츠의 법적 지위: 본 AI 생성 컨텐츠는 재능넷의 지적 창작물로 인정되며, 관련 법규에 따라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3. 사용 제한: 재능넷의 명시적 서면 동의 없이 본 컨텐츠를 복제, 수정, 배포, 또는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행위는 엄격히 금지됩니다.
  4. 데이터 수집 금지: 본 컨텐츠에 대한 무단 스크래핑, 크롤링, 및 자동화된 데이터 수집은 법적 제재의 대상이 됩니다.
  5. AI 학습 제한: 재능넷의 AI 생성 컨텐츠를 타 AI 모델 학습에 무단 사용하는 행위는 금지되며, 이는 지적 재산권 침해로 간주됩니다.

재능넷은 최신 AI 기술과 법률에 기반하여 자사의 지적 재산권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며,
무단 사용 및 침해 행위에 대해 법적 대응을 할 권리를 보유합니다.

© 2025 재능넷 | All rights reserved.

댓글 작성
0/2000

댓글 0개

해당 지식과 관련있는 인기재능

 안녕하세요. 개발자 GP 입니다. 모든 사이트 개발은 웹사이트 제작시 웹표준을 준수하여 진행합니다.웹표준이란 국제표준화 단체...

○ 2009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언어와 기술을 활용해 왔습니다. 특히 2012년부터는 자바를 중심으로 JSP, 서블릿, 스프링, ...

주된 경력은 php기반 업무용 웹프로그램 개발입니다.웹프로그램과 연계되는 윈도우용 응용프로그램도 가능합니다. 학사관리시스템,리스업무관...

워드프레스를 설치는 했지만, 그다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시나요? 혹은 설치가 어렵나요?무료 워드프레스부터 프리미엄 테마까지 설치하여 드립니...

📚 생성된 총 지식 13,454 개

  • (주)재능넷 | 대표 : 강정수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 1612, 7층 710-09 호 (영통동) | 사업자등록번호 : 131-86-65451
    통신판매업신고 : 2018-수원영통-0307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중부청 2013-4호 | jaenung@jaenung.net

    (주)재능넷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재능넷사이트의 일체의 정보, 콘텐츠 및 UI등을 상업적 목적으로 전재, 전송, 스크래핑 등 무단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재능넷은 통신판매중개자로서 재능넷의 거래당사자가 아니며,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정보 및 거래에 대해 재능넷은 일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2025 재능넷 Inc. All rights reserved.
ICT Innovation 대상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표창
서울특별시
공유기업 지정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콘텐츠 제공서비스 품질인증
대한민국 중소 중견기업
혁신대상 중소기업청장상
인터넷에코어워드
일자리창출 분야 대상
웹어워드코리아
인터넷 서비스분야 우수상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
정부유공 표창장
미래창조과학부
ICT지원사업 선정
기술혁신
벤처기업 확인
기술개발
기업부설 연구소 인정
마이크로소프트
BizsPark 스타트업
대한민국 미래경영대상
재능마켓 부문 수상
대한민국 중소기업인 대회
중소기업중앙회장 표창
국회 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 표창